미생물 가열사멸의 확률론 및 결정론 모델
- 전문가 제언
-
○ 미생물 사멸 모델은 생존곡선의 형태가 세포 사멸 크기나 포자 사멸 확률에 의해서 결정되며, 열처리 도중에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개념에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사멸 또는 사멸 확률 속도 함수가 flat shoulder를 나타내는 생존 양상을 포함하여, 대수-선형 및 비대수-선형 등의 거의 모든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생존 양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된다.
○ 미생물 사멸 모델링을 위한 개연론적 접근방식은 세포 수준에서 과정의 동적인 순서를 추측하는 필요성을 배제한다. 따라서 전통적인 사멸 활동은 사멸 또는 사멸 기작에 대한 어떠한 지식도 필요 없이 실험적인 생존 자료로부터 적어도 원칙적으로는 직접 예측할 수 있는 확률 속도 함수로 대체된다.
○ 개연론 모델의 결정론 및 특히 확률론이 멸균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는 동역학적 속도 모델(kinetic rate models)을 대체할 수 있을지는 아직 의심스럽다. 동역학적 모델은 보다 간단하며, 특히 최근에 Corradini 등(2008, 2009)과 Peleg 등(2008)에 의해서 제안된 3점법(Three points method)의 경우에 매개변수를 실험적으로 예측하는 데 있어서 훨씬 용이하기 때문이다.
○ 개연론 모델의 중요한 가치는 기존의 동역학적인 사멸 모델에 실제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설명을 위한 능력에 있다. 그러나 개연론적 접근방식의 채용은 개별적인 소그룹의 미생물 세포 및 포자의 생존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 이것은 개별적인 소그룹의 미생물 세포 및 포자가 한계 열처리(marginal heat treatments)에 영향을 받을 때 특히 유효한데, 표준 반응속도 모델의 경우에는 높은 치사 온도에서 대규모 집단에 대한 사멸 자료에서 파생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접근방식 및 방법론은 사멸 확률이 유사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 사멸의 비가열 및 조합 방법에도 확대 적용시킬 수 있다.
- 저자
- MARIA G. CORRADINI, MARK D. NORMAND, ANDMICHA PELE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75(2)
- 잡지명
- Journal of Food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9~70
- 분석자
- 정*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