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현황과 제조방법의 향후 전망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석유화학 업계, 미생물 연구 관련 업계, 환경 관련 업계나 단체 등이 공동으로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다. 석유화학 업계는 석유자원의 유한성에 따른 고유가 시대의 도래에 대비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미생물 업계는 바이오매스 수지 개발의 핵심 분야라는 점에서, 환경단체는 생태환경 개선 차원의 문제라는 점에서 공통의 관심분야이며 서로 협력해야 할 분야로 볼 수 있다. 또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어 있는 현안인 지구 온난화 문제와도 직접적 관련이 있고 각 나라들이 정책적으로 다루어야 할 에너지 문제와도 관련이 있어 정부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정책 과제의 하나로 다루어야 한다.
○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환경규제와 폐수지 처리 문제가 크게 부각되면서 관련 분야의 시장이 생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SKC, 한화, 대상, 새한, 이래화학 등 국내업체들도 생분해성 수지와 바이오매스 수지의 기술개발과 제조설비 투자, 시장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내 개발 업체들은 국내시장의 협소함에 비추어 해외 수출시장 공략에 우선 주력하고 있다.
○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으로 석유유래 플라스틱을 대체하게 되면 발전용 소각로에서 생기는 CO2의 배출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 실용화에는 코스트 문제 등 현실적 어려움이 있어 시간이 꽤 필요할지 모르겠지만 정부는 PLA, PHA를 통한 PE, PP화 리사이클에 대한 강력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
○ 특히 바이오매스 수지의 제조에는 기술적인 문제 이외에도 식품폐기물 발생이 광범위하게 발생되므로 이에 따른 효율적인 집적, 운반 등의 시스템과 경제적 방법이 강구되어야 하고 기존의 석유유래 수지 제품의 제조 코스트보다 경제적 경쟁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기업이나 기술 연구 기관, 정부 차원의 공동 차원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 저자
- Eya Hiras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58(4)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5~80
- 분석자
- 이*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