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대사와 아테롬형성 질병과의 관계
- 전문가 제언
-
○ Lysophosphatidylcholine(LPC)은 phospholipid(PL)의 하나로 글리세롤의 sn-C1에 하나의 긴 지방산, 그리고 sn-C3에 phosphocholine이 결합된 분자이다. 생체 내에서 LPC는 phospholipase A2에 의해 phosphatidylcholine에서 하나의 아실기의 가수분해로 만들어 진다.
○ LPC는 주요한 혈장 지방질이며 세포의 중요한 신호전달 분자 중의 하나이다. 또한 LPC는 G 단백질에 결합한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특정한 수용체의 리간드이며, 2차 전령을 활성화 하여 생리학 및 병리생리학 과정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LPC는 oxLDL(산화 LDL)의 주요한 인산지방질 성분인데 이것은 oxLDL의 아테롬형성 활성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 특히 혈중의 높은 LDL(low-density lipoprotein) 농도가 원인이 되어 LDL이 산화하여 oxLDL로 되고 이것이 대식세포에 흡수되어 거품세포가 형성된다. 거품세포는 혈관 벽에 침적하여 죽 같은 플라크를 만들고 이로 인해 혈관이 좁아져서 관상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된다. 그런데 LPC는 oxLDL의 중요한 성분이며 정상 LDL에 비하여 oxLDL에 5배나 많이 있다. 또한 LPC는 동맥경화성 상처에서 검출되며 친-아테롬형성과 상황에 따라 반-아테롬형성 역할을 한다.
○ LPC는 아테롬형성 질병과 관련되기 때문에, LPC를 생성하는 효소를 주목하게 된다. 하나는 sPLA2(secretary phospholipase A2)이고 이 효소는 인산지방질을 가수분해하여 LPC와 아라키돈산을 생성한다. sPLA2 효소 중에서 Ⅱa, Ⅴ, 및 Ⅹ 집단이 동맥경화증 상처에서 많이 발현된다. 다른 하나는 Lp-PLA2(lipoprotein-associated phospholipase A2)이고 oxLDL 입자를 가수분해하여 친-염증성 PLC와 산화 지방산을 생성한다.
○ 혈장의 LPC 수준을 나추기 위해 PLA2를 억제하고 동시에 항산화성을 갖는 단일 의약품 분자의 개발이 바람직하다. 앞으로 LPC의 생리학적 및 병리생리학적 역할이 더 밝혀져야 하며, 여기서 얻어지는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의약품의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다.
- 저자
- Gerd Schmitz, Katharina Ruebsaam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208
- 잡지명
- Atherosclerosi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0~18
- 분석자
- 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