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계 초전도체에서의 자성
- 전문가 제언
-
○ 철(Fe)을 기저로 하는 화합물에서 임계온도(Tc)가 26K인 초전도체가 발견된 지 2년이 경과하였다. 그간 다양한 도핑을 통해 수많은 철계 초전도체가 발견되었다. 25년 전 구리산화물 고온초전도체(HTS)가 발견 되었을 때의 상황이 반복되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 현재 Tc가 가장 높은 철계 초전도체는 Gd1-xThxFeAsO로 56K이다. 구리산화물 HTS와 비교하면 Hg 계열이 165K이고, 이미 상용화가 된 Bi 계열이 120K이므로 Tc는 많이 낮으나 앞으로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 철계 초전도체는 구리산화물 HTS와 여러 가지 유사성을 갖고 있다.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여 4, 5개의 원소로 된 화합물이라는 점과 많은 경우에 산소를 포함한다는 점도 같다. 모화합물에 도핑을 하면 결정구조의 전이가 나타나고 도핑에 따른 상평형도에 자성을 가진 상이 나타나는 점도 비슷하다.
○ 차이점은 구리산화물의 경우에는 CuO면이 초전도 전류를 흘리는 데 비하여 철계 초전도체에서는 FeAs면이 그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철계 초전도체에서는 자성이 초전도성과 공존하는 경우가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철계 초전도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자기 질서와 스핀 동역학을 실험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비탄성 중성자 산란, Fe의 뫼스바우어 효과, NMR 등이 특성 측정에 주로 이용되었다.
○ 아직 상반되는 결과가 많고, 실험에 필요한 단결정 시료를 얻는 데도 어려움이 있으나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었다. 철계 초전도체의 기본메커니즘 규명에 필수적인 자성과 초전도성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이 분야의 국내연구는 저조하며, 일부 대학에서 기초연구를 수행한다. 가장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는 나라는 놀랍게도 중국과 일본이다. 세계 제일의 희토류금속 매장량과 생산국인 중국이 구리산화물 HTS와 더불어 철계 초전도체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한다.
- 저자
- M D Lumsden and A D Christians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22(20)
- 잡지명
- Journal of Physics Condensed Matt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03203001~203203026
- 분석자
- 박*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