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생동물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발생

전문가 제언
○ 본 원고는 남조류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동물에서 산화스트레스를 발생하고 동물의 항산화방어능력을 떨어뜨리는 기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항산화능력을 복구하는 방법으로 LA/DHLA를 투여하는 화학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리포산(LA)은 지용성이면서 동시에 수용성의 특성을 갖고 있어서 생체 내에 들어가면 생체의 모든 세포조직에서 활성산소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리포산은 체내에서 강력한 항산화능력을 가진 DHLA로 쉽게 전환되는 특성도 있다.

○ 마이크로시스틴이 인체에 들어가면 간장, 위장, 신장에 독성을 나타낸다. 1988년 브라질에서는 남조류가 번성한 저수지 물을 마신 주민 2,000여명이 심한 복통을 일으키고 이 중 88명이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이곳의 주민들은 끓인 물을 식수로 사용하기에 박테리아 등의 원인에 의한 것은 아니고 남조류 독성으로 인한 것이었다. 남조류 독성은 끓여도 없어지지 않는다.

○ 사람이 마이크로시스틴에 오염된 물고기를 섭취하게 되면 마이크로시스틴 독성의 피해를 받을 수 있다. Nile강에서 잡힌 틸라피아 물고기의 근육조직에서 WHO 일일허용량(0.04μg/kg)을 상회하는 물고기가 발생하였다. 마이크로시스틴에 오염된 식품을 장기간 섭취하게 되면 간독성을 나타내게 되고 간암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 2005년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조사에 의하면 시아노박테리아는 서울경기 지역의 정체된 연못에서는 발견되었으나, 한강수계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구온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한반도의 온도가 올라가면 발생할 가능성도 있어 계속 관찰을 요한다.
저자
L.L. Amado, J.M. Monserra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6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26~235
분석자
길*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