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동통신용 위성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조망

전문가 제언
○ 위성시스템은 회선구성의 유연성이 좋아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 갑자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지역, 그리고 비행기, 기차, 배 등 움직이는 이동체의 이용자에게 통신서비스를 쉽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또 광범위한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광역성과 방송 및 멀티캐스트를 동시에 여러 곳에 전송할 수 있는 동보기능을 갖고 있어 지상망과 비교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이동위성통신 시스템은 처음에는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S대역과 L대역을 사용하였지만 초고속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Ku대역과 Ka대역으로까지 확장되었다.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기술도 위성탑재 신호처리 기술, 위성 상호간 통신링크 기술, Ka대역 기술 등이 사용되었고 안테나에서도 성형 빔 안테나, 다중 빔 안테나, 다중 대역 안테나, 위상배열 안테나 기술 등이 이용되고 있다.

○ 저궤도 위성통신시스템은 서비스 지역, 전파 전송시간, 전파 빔의 효율적인 사용 등 정지궤도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가 일반화되기 전에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로 주목을 받았다. 이때 추진이 시도됐던 세계적인 위성통신 프로젝트는 이리듐, 글로벌스타, 텔레데식 등 수십 종에 이르지만, 현재는 지상 이동통신망이 미치지 못하는 틈새 이동통신 시장에만 아주 소규모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 KT, SKT, 데이콤(현재 LG U+) 등 한때 우리나라 주요 통신 사업자들도 저궤도위성 이동통신에 매료되어 지분출자 형식으로 다국적기업들이 추진하는 대형 프로젝트에 참여했지만 현재 인마셋에 참여한 KT를 제외하고는 사업이 미미하거나 사업에서 거의 철수한 상태다. 국내는 지역이 협소하고 지상 휴대전화가 많이 보급되어 있어 위성 이동전화의 수요는 한정적이라,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나 투자보다는 필요할 때 구입해 사용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저자
Paolo Chini, Giovanni Giambene, and Sastri Ko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28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satellite communication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9~57
분석자
김*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