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식 크레인
- 전문가 제언
-
○ 중량물 핸들링 산업현장의 상업적 운송 분야에서 대형 운반트럭에 제품을 적재 및 하역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 크레인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하역장비가 준비되지 않은 산골지역의 목재 수집현장에서 목재 뭉치를 상차 및 하차시키기 위해 운반트럭 또는 트레일러에 장착한 인양 크레인을 주로 사용한다.
○ 환경과 비용 관점에서 볼 때 크레인은 무겁고 비싸기 때문에 연료와 비용이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운용효율이 나빠진다. 따라서 운반트럭은 더욱 비싸지고 일반 화물운반에 사용하기에는 점점 어려워진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크레인을 설치한 장착대(base)를 캐리어의 연결 유닛에 결합하는 도킹장치(docking device)를 고안하였다.
○ 이 도킹장치를 적용하면 화물 운반 트레일러를 캐리어에 연결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지지대(rest legs)를 들어 올린 채로 함께 크레인을 회전시켜 이동 유닛(MU)을 캐리어에 고정할 수 있다. 유압펌프 등 구동장치는 크레인 장착대에 설치하여 크레인을 가동할 때 유압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 국내에도 지지대에 관한 특허 10-0607340 및 10-0379236가 있고, 크레인 제어장치에 관한 특허 10-0583560가 있다. 또한 이동식 크레인은 산업안전보건법보다는 노동부가 고시한 건설기계관리법에 의거하여 제반 안전기준과 검사기준에 부합되도록 설계하여야 하고, 운전실이 구비되어 있으면 자격면허 여부도 검토하여야 한다.
○ 최신 IT기술을 접목하여 예열 및 모터 시동신호를 연결하고, 구동계통의 운전제어를 개선하면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 크레인 작동영역과 부하관계에 대하여 자동으로 제한 및 경고하는 기능을 부가하고, 이동식 크레인 구조규격에 관한 기술지침에 준하여 구조강도 및 안정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검증절차를 추가 보완하여야 한다.
- 저자
- KJELLBERG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2297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3
- 분석자
- 나*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