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소비재 생산을 위한 미세조류의 바이오공정 기술
- 전문가 제언
-
○ 미세조류(microalgae)는 식용과 사료용 외에도 바이오디젤, 의약품, 영양보조제 등 미세조류 추출성분의 소비제품에 최근 많이 응용되고 있다. 또한 폐수의 수질 정화, 온실가스 감소 등 환경부문에도 많은 적용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미세조류의 엄청난 생물다양성(biodiversity)과 최근의 유전공학 및 대사(metabolic)공학 발달을 고려할 때 미세조류의 바이오기술은 향후 식품, 에너지, 의약산업 및 환경부문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수요를 창출할 것이다.
○ 바이오연료의 경우 콩, 옥수수 등의 식용자원을 원료로 사용하면 연료추출 효율이 높지만 곡물가격 상승 초래 및 토지 확보를 위한 숲의 파괴로 온실가스 저감에 부정적 견해가 있다. 비식용 자원인 목질섬유소나 바이오폐기물을 원료로 활용하는 경우는 아직 원료수집 비용이 높고 생산 수율이 낮은 과제가 남아 있다. 미세조류를 이용하는 바이오연료의 상용화가 이루어지면 식용자원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생산효율이 매우 높고 온실가스 저감에도 환경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유익한 미세조류의 대량 배양 및 추출기술은 새로운 산업분야로서 여러 가지 요소기술을 필요로 한다. 현재 미국, 일본, EU 등의 유수 기업들은 미세조류를 응용한 다양한 제품의 상업화를 위해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조류를 이용한 CO2 고정화, 미세조류 바이오연료에 대한 연구 등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형적 이점과 해조류 양식기술을 활용하고 생명공학기술(BT), 정보기술(IT), 에너지기술(ET), 환경기술(ET) 등의 융합에 의한 국가적 차원의 전략적이고 집중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우리나라가 선도적 기술개발 대열에 참여함으로써 새로운 성장 시장에 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저자
- Razif Haru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1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37~1047
- 분석자
- 황*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