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뎅기 바이러스 저해제 개발 전략

전문가 제언
○ 항바이러스제의 개발은 과거 세균에 대한 항생제 개발과 같은 전망을 갖는다. 개발 대상과 효능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며 치료의 이점과 아울러 동반되는 경제적 이점이 대단히 클 것으로 전망되어 이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의 강화가 요구된다.

○ 본 리뷰에서는 막은 있으나 비교적 크기가 작아 현재까지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 않는 플라비 바이러스에 속하는 뎅기 바이러스 억제제 개발 전반에 대해서 총정리하고 있다.

○ 뎅기 바이러스는 대부분의 경우 경증으로 지나가나, 이 감염자의 일부는 출혈을 보이는 등의 위중한 임상 증세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치료제의 사용이 절대적이며 더구나 감염 시에 바이러스 증식 기간이 짧기 때문에 예방 차원에서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약제 개발의 타당성은 크다.

○ 뎅기 바이러스 억제물질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임상 시험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는 제품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개발을 위해서는 바이러스의 생성과 증식, 조립, 및 방출 등 전 과정에서 적합한 표적에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찾아내야 한다. 또한 숙주 차원에서 바이러스 생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에 대한 저지물질을 찾아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작용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전자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 인풀루엔자, HIV 등 많은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제가 성공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에 추가하여 보다 개발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는 작은 바이러스와 막이 없는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국내에서 뎅기 바이러스와 유사한 일본뇌염 바이러스의 발생은 감소되고 있으나 면역의 감소로 인하여 재유행할 가능성은 상존한다. 국내에서도 현재까지 개발이 늦어지고 있으나 필요성이 증대되는 바이러스 억제물질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이 요구된다.
저자
Christian G. Noble,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85(3)
잡지명
Antivir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50~462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