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업용 나노 물질에 대한 노출저감대책

전문가 제언
○ 나노물질은 ISO/TC229 TS27689의 Nano?technologies에 표시되어 있으며 3차원 중 적어도 1차원이 약 1nm~100nm 크기의 물질이거나 이러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나노 구조체를 말한다.

○ 나노 구조체는 장래에는 사회기반에 깊이 파고들어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조로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부가가치 창조의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이 아니다. 크기의 미소화에 따라 입자가 체내에 침착하기 쉽고 폐 이외의 장기인 외계와 접촉되지 않는 체내의 장기로 이동되는 것도 추정되고 있다.

○ 공업용 나노재료의 유해성 평가는 나노 크기로 분산시킨 공업용 나노재료에 대하여 물리화학적 시험, 시험관내 시험, 기관 내 주입시험, 흡입 노출시험을 하며 이 시험의 결과를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유해성 평가를 하게 된다.

○ 사업자는 공학적 대책으로 작업자의 노출을 방지를 해야 하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충분한 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마스크와 같은 호흡용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 현재까지는 나노재료의 위험성이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각 국가는 법적으로 규제를 하지 않고 자주적으로 대책을 강구하게 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 산업의 발전으로 산업설비에서 비산하는 먼지와 가스 등 나노물질의 생성으로 도시는 심각하게 오염되어가고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한 레진 울 필터(RWF: Resin Wool Fil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 등이 개발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하고 있다.

○ 고효율의 여과재가 사용된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 작업자도 노출방지와 위험저감문제가 시스템적으로 완전히 해결되는 것이 아니므로 호흡용 보호구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므로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안전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저자
T. MYOJO, T. OYABU, I. TANA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1(10)
잡지명
粉體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2~36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