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통합실조증에 있어서 인지장애에 대한 비정형 항정신병약의 유효성

전문가 제언
○ 통합실조증의 병태에 있어서 병인인 유전인(遺傳因)에는 수십 개의 후보 유전자와 환경인에는 여러 가지 뇌 기질성 손상과 심리사회적 요인이 있다. 복합적 병인에 의하여 신경 발달이 장해되고, 뇌의 구조적 변화나 기능적 변화로 신경전달물질의 편의(偏倚)를 수반한 신경계통의 기능장해로 귀결된다. 이를 기본 장해로 한 인지장해가 출현하고 정신증상이나 행동변화를 갖게 된다고 생각한다.

○ 통합실조증에서 볼 수 있는 인지장해는 인지기능 전반에 걸친 장해이나 특히 주의, 기억, 실행기능의 장해가 있고, 정신병 증상의 발증 이전부터 나타내었다. 그 장해의 질과 경과의 특징은 인지 증에서 볼 수 있는 인지장해와는 전혀 다르다. 최근 Keefe 등은 인지장해를 통합실조증의 진단기준으로 하고자 하는 움직임이나, Bechana RW 등은 인지장해 자체를 통합실조증의 치료표적으로 자리 매김한 새로운 인지개선 약의 개발이 상당히 연구되고 있다.

○ 비정형 항정신병약은 인지장해를 개선하나 그의 효과는 만성 통합실조증에서는 정형 항정신병약보다 확실히 우수하다고는 하기는 어렵다. 비정형 항정신병약은 정신병의 초발환자나 초고위험자의 일부를 명확히 인지기능을 개선하고, 그 경우 장기예후를 개선하는 것이 기대된다.

○ 1990년대에는 정형 항정신병약에 의한 추체외로 성 부작용의 출현하기 어려운 serotonin dopamine antagonist(SDA)나 multi-acting receptor targeted agent(MARTA)라 부르는 제2세대의 "비정형" 항정신병약이 속속 등장하여 음성증상이나 인지장해에 대한 치료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저자
Mazuoka Y.F. et.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61(1)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9~74
분석자
김*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