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통합실조증 환자의 치료목표와 약물요법의 의의

전문가 제언
○ 통합실조증은 병인과 병태에 있어서 폭넓은 개념을 가지고 있는 증군이다. 특유의 정신병 일화를 가지며 만성적인 발증 취약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증상의 재발과 만성화가 종종 환자의 인생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급성기에는 위중한 정신병상태로 자상타해(自傷他害)의 위험성도 관찰되고 있다. 통합실조증의 경과를 급성기, 회복기, 안전기 각각에 대하여 치료 목표와 약물요법에 대하여 보고하고 있다.

○ 통합실조증 환자의 급성기 치료에 있어서는 정신증상?관련증상?행동장해를 경감 또는 소실시켜 사회생활 기능을 되도록 조기에 최대한 개선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이다. 또한 단기?장기의 치료계획이 필요하며, 약물요법은 신규 항정신병약을 제1선택으로 하고 단제가 바람직하다.

○ 회복기의 치료에는 종래형 항정신병약, 신규 항정신병약을 동 용량으로 계속 유지하고, 약 6개월은 경과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조급히 항정신병약을 조정하여, 변경하거나 감량하면 증상이 재연?재발하기 쉬우므로 안정기에 들어가서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작용이 나타나면 조급히 항정신병약을 조정하고 복약 순응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안전기의 치료에는 사회자원을 이용하여 QOL을 높이고 양질의 치료관계를 구축하여 재연?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항정신병약을 선택할 때 요인은 신규 항정신병약 간에도 부작용 윤곽이 다르다. 즉 추체외로 증상 등의 부작용이 강한 경우는 risperidone 고용량 사용을 피하고 고 프로락틴 혈증에는 risperidone 이외의 신규 항정신병약을 선택한다. 체중 증가나 당질대사이상이 오기 쉬울 경우는 olanzapine나 quetiapine보다도 aripiprazole을 선택하고 지발성 dyskinesia가 있는 증례에는 clozapine이 추천되고 있다.
저자
Morihyup D.S. Iywada G.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61(1)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3~38
분석자
김*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