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플랫폼 및 연계 기술
- 전문가 제언
-
○ 효과적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포트 및 접속매체가 개발되고 있다. RGB 케이블에서 DVI 케이블로 변화하고 있으며, DVI 케이블이 완전히 대중화되기도 전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DVI 기능에 음성신호 전송까지 통합된 새로운 규격으로서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ing) 추세의 가속화에 따라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 기술의 주요 미디어는 고해상도의 이미지이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연결하는 케이블 역시 DVI나 HDMI 케이블이 효과적일 수 있다.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포트 및 플랫폼의 세계적인 개발 추세는 기존의 기기 내부 인터페이스 표준인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와 외부 연결 표준인 DVI를 통한 접속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아직 국제표준화 되지는 않았지만 국내에서도 이러한 접속규격을 지원하는 매체의 개발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곧 수요자의 사용 편의성을 도모하고 중복개발 투자로 인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대안이기도 하다.
○ DVI 플랫폼 기술은 인텔이 제창한 이후 필립스, 마쓰시타, 소니 등이 개발 중인 CDI 방식과 접목되어 HDMI를 능가하는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정보를 디지털화할 때 아날로그 화상에 생기는 노이즈가 제거되어 화질이 향상되고 더빙을 반복해도 화상이 떨어지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기술에서도 이러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플랫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플랫폼의 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개선이 필요하다. 아울러 국내 관련 업계에서도 적극적으로 이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 세계적인 평판TV 시장 수요에 힘입어 2008~2009년 사이 PDP 모듈 출하량이 급증하면서 파나소닉, 삼성SDI 및 LG전자의 3강 구도가 고착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전 세계 PDP 모듈 출하량의 94%를 3사가 점유하였다. 특히 삼성SDI와 LG전자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30%를 넘어서면서 국내 디스플레이 플랫폼 관련 기술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 저자
- SMART INTERNET TECHNOLOGY CRC PTY LTD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33216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7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