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양에서 생물 발광: 생물학적, 화학적, 생태학적 다양성의 근원

전문가 제언
○ 국내에서 발광 해양생물의 발굴, 생태적 연구,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인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사람들은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이미 알려진 발광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단이나 기초연구에 도움을 받는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까지 60여 편의 논문들이 주로 이러한 응용분야에 여러 기관에서 산발적으로 발표되었다.

○ 미국의 Scrips연구소 등에서는 발광박테리아를 순환과정과 관련하여 연구하고 있다. 발광박테리아에는 유속에 따라서 발광여부가 결정되는 것들이 있다. 이러한 원리는 생물공정 등에 응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GFP등과 같은 형광단백질들과 결합한 발광시스템을 개발하면 새로운 공정의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발광시스템을 통하여 발광을 하게하면 외부 흡광이 없이도 GFP의 발광을 유도할 수 있고 이것은 진단 등에도 사용될 수 있지 않을까?

○ 새로운 구조의 luciferin들을 합성하여 발광의 원리를 보다 다양하게 응용하는 기술의 개발이 예상된다. 현재 4종류 정도의 luciferin이 잘 연구되어 있으나 아직도 많은 연구대상이 있으며 이와 유사한 물질들을 합성하면 수많은 응용 가능한 발광화합물들이 확보되고 이들의 응용범위가 넓어진다고 생각한다.

○ Luciferase, lux operon 등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개조하는 연구와 유전자 변형 생물체를 만드는 일은 이 분야의 미래연구의 큰 방향 중에 하나라고 판단한다. 가로등을 사용하지 않고 가로수가 발광을 하게하는 연구는 이미 대상이 되어있다.

○ 반딧불을 모아서 등을 만든다는 어린이들의 꿈은 이루어지고 있으며 친환경 그린테크놀로지의 좋은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발광생물이 아닌 식물, 곤충, 박테리아, 곰팡이 등이 발광을 하게 한다면 어떤 세상이 펼쳐질까?
저자
E. A. Widd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328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04~708
분석자
김*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