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아 류마티스성 질환의 치료에서 운동요법의 중요성

전문가 제언
○ 류머티즘(rheumatism)은 전신 결합조직, 특히 관절 및 근육 활액과 섬유조직 등에 염증, 변성, 대사 장해를 수반하는 질환이다. 병소 부위에 동통, 경직, 운동제한의 증상이 나타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은 통증을 수반하는 관절이나 운동기관의 연부조직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그 병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염증을 주 증상으로 하는 류마티스성 질환에는 RA 외에도 전신 홍반성 낭창, 피부 근육염, 피부 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이 잘 알려져 있다.

○ RA는 IgG와 류마티스인자(rheumatoid factor: RF)로 알려진 IgG 자가항체(autoantibody)가 면역복합체를 만들어 관절의 활액막에 축적되어 활액막이나 연골의 파괴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자가면역반응은 바이러스나 화학물질 등 외부인자의 침입이나 대사이상과 같은 내인적 요소에 의해 발생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작용으로 조직 파괴로 발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소아 류마티스성 질환자를 위한 운동요법의 효과에 대한 강력한 이론적 근거가 있지만 실제로 이에 대한 기초연구 및 임상실험은 기대만큼 많지 않다. 도리어 염증을 주 증상으로 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질병에서는 육체적인 활동보다는 침대에서 편히 쉬는(bed-rest)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잘못된 선입견 때문에 운동요법의 중요성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었다.

○ 운동요법은 그 기능의 복잡성 때문에 약물요법과 같은 효능 측정이 어려운 기본적인 결점이 있지만 소아 류마티스성 질환에서도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 약제보다도 더 우수한 일차적인 치료 수단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최근의 연구에서 운동은 C-reactive protein의 농도를 감소시켜 직접적으로 전신성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앞으로 소아 류마티스성 질환에서 적절한 운동요법은 만성 염증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면역억제제 약물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Bruno Gualan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9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69~573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