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앤티 아일랜딩 방법
- 전문가 제언
-
○ 아일랜딩(islanding)이란 그리드에 연결된 태양광발전과 같은 분산발전(DG, Distributed Generation)이 그리드 단절 후 계속 국지적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를 말하며, 여러 가지 위험이 있으므로 운전이 즉시 중지되어야 하지만 검출 및 예방, 즉 안티 아일랜딩(anti-islanding)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 AIM(Anti-Islanding Method)으로는 능동형 AIM과 수동형 AIM이 있다. 능동형 AIM은 전압과 주파수를 검출하여 판별하는 수동형 계통에 전압, 전류, 주파수의 교란을 강제로 주입하여 그 효과를 향상시킨다. 수동형 AIM은 전압과 주파수가 자연스럽게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 아일랜딩은 국지적으로 부하와 DG가 균형을 이루고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균형을 이루는 순간에 절묘하게 그리드가 단절되는 사고가 생긴다는 것은 확률적으로 매우 드문 경우이므로 주거지역에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증설하는 것을 검토할 때 이러한 문제를 무시해도 좋다. 하지만 아일랜딩 문제는 안전상의 이유로 충분한 대비를 해 놓아야 한다.
○ 우리나라 에너지공단에서 신생에너지 기반조성 사업으로서 안티 아일랜딩 요건을 명시한 기술 기준 PV501-2009(소형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계통 연계형 및 독립형)를 공포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 기술 기준에 따르면 단독운전 방지(안티 아일랜딩) 기능시험 요건이 명시되어 있다. 판정 기준은 단독운전(아일랜딩)을 검출하여 0.5초 이내에 개폐기를 개방하는 것이다.
○ 기술표준원은 별도의 KS 규격을 만들지 않고 IEC 62116(International standard, test procedure of islanding prevention measures for utility-interconnected photovoltaic inverters.)의 부합화 여부를 현재 검토 중이다. 신속한 조치를 취하여 산업계의 기술 개발과 생산 활동이 세계적인 수준이 되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Yu, Byunggyu, et.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84(5)
- 잡지명
- Sol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745~754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