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영향평가의 한계와 기여-산샤댐
- 전문가 제언
-
○ 경제개발은 에너지수요를 증가시킨다. 각 나라는 개발 가능한 에너지원 중 큰 하천과 수자원을 대형댐으로 개발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대형댐 건설 계획을 세우고, 이미 운영 중인 국가다.
○ 아시아 대륙을 흐르는 수자원을 발전소로 개발 계획한 것은 1900년대 초이며 많은 반대에도 건설 후 수문을 닫은 시기는 2003년이다. 이제 7년의 댐 가동 후 상류, 댐 주변과 하류, 하구지역에 변화가 일어나며 그 변화에 관한 연구를 정리했다.
○ 수문을 닫은 후 퇴적물의 감소와 하구에 삼각주의 후퇴 등이 나타나고, 환경변화에 민감한 종의 개체 수 변화, 수질 등을 조사했다. 강의 하구에서 침수 이후(2003년) 해조류(algae blooms) 규조류(diatoms) 등이 증가했다.
○ 환경영향을 계층(hierarchy)으로 나누면 1차 영향이 수문, 기후, 퇴적물, 수질에 관한 것이며 2차 영향은 생물서식지의 질과 양에 관한 것이고, 3차 영향은 1차와 2차 영향의 누적결과에 따라 하천시스템 전반에 나타나는 영향이다. 수문을 닫은 후 단기간에 나타난 영향은 조사했으나 장기간의 영향은 아직 불확실하다.
○ 우리나라는 양자강의 퇴적물과 유출량 변화가 서해의 수온, 염분도, 영양염 등을 변화시켜서 서해, 남해의 수산자원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유출량, 수질 등을 모니터링 해야 한다.
- 저자
- Desiree Tullo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90
- 잡지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208~5223
- 분석자
- 황*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