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젖산(PLA) 개질
- 전문가 제언
-
○ 본 분석보고서에서는 PLA 개질 그중에서도 의용재료로의 용도 전개를 위한 개질에 대해 집중적으로 기술을 하고 있는데 PLA가 환경친화형 고분자재료로 확실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일반 포장재나 성형품에의 적용이 더욱 확대될 수 있게 기계적 강도나 열적 특성의 향상을 위한 경제적인 개질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PLA의 최근 가격은 2$/Kg 전후로 기존 석유화학계 성형재료에 많이 근접하고 있다.
○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최근에 PLA의 최대 제조업체(생산능력 14만톤/년)인 NatureWorks가 컴퓨터 케이스나 휴대용 전자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갖는 새로운 개질 그레이드를 출시한 것은 관심을 끌만한 일이며, 유럽에서는 음료수병에 PLA가 일부 적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물 투과도를 낮출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일본의 경우 미쓰비시 플라스틱이 PLA의 내열성을 개선하여 소니의 신형워크맨의 외장재로 채택하고, 산요가 미쓰이화학이 개질한 PLA를 적용하여 생분해성 DVD를 생산하는 등 활발히 움직이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가전제품에의 적용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도 코롱, 휴비스 등 섬유회사들을 중심으로 PLA의 용도 개발을 진행 중에는 있지만 진행속도가 빠르지는 못하다.
○ 결론적으로 PLA의 환경친화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일반소비재로의 확대가 지연되고 있는 이유는 성능/가격의 Balance가 일반 석유화학계 성형재료에 경쟁할 만큼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대량생산에 의한 PLA의 생산비 저하와 더불어 성능/가격의 Balance를 개선할 수 있는 더 많은 개질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Rahul M. Rasa, Amol V. Janorkar,Douglas E. Hir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5
- 잡지명
- Progress in Polym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38~356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