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세 조류로부터의 바이오연료 생산기술

전문가 제언
○ 최근 환경문제와 재생가능 자원의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방법에 의한 에탄올, 부탄올과 같은 바이오연료의 제조방법이 주목되고 있다. 수송용 연료로서 에탄올의 사용은 기름과 같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성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O2에 의한 환경오염 및 지구기후변화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 2008년 원유가 급등을 기점으로 미세 조류 유래의 비식용 바이오연료 개발에도 높은 관심이 높아졌다. 식량과 경합하는 바이오매스가 문제시되어 대체 자원의 개발 중요성이 널리 인식된 점도 관련이 있다. 그러한 배경의 일환으로 Camelina, Jatropha, 미세 조류 유래의 바이오연료를 배합한 제트연료에 의한 Boeing 747-300 기종 비행기의 Haneda- Sendai 간의 비행인 「JAL BIO?FLIGHT」가 있다. 이는 향후 저탄소 사회 실현을 향한 자세의 하나라 볼 수 있다.

○ 최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바이오매스로부터 에탄올과 같은 바이오연료 및 대사물질로서의 기초 화학물질을 합성하는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의 한계 때문에 생산효율을 높이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바이오매스로부터 미생물의 발효에 의한 다양한 바이오연료 및 대사물질을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가혹한 조건에서도 생명력을 가진 미생물 종의 개발이 필연적 과제이다.

○ 한국의 경우, 바이오디젤 도입은 2006년 7월부터 상용화가 허용됐지만 아직 유통은 활발하지는 못하다. 한편, 바이오에탄올은 2006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2년간에 걸쳐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여러 가지의 이유로 아직까지 도입이 유보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향후 세계적으로 바이오에탄올 도입의 확대가 예상되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식용자원을 탈피한 셀룰로오스계의 바이오매스, 미세 조류 등을 원료로 한 바이오에탄올 생산기술에 의한 2, 3세대 바이오연료의 도입이 강하게 요망된다.
저자
Ota Masa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33(2)
잡지명
ペトロテック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6~100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