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메콩 삼각주의 대수층 내 비소의 공급원과 방출기구
- 전문가 제언
-
○ As 화합물인 비산, 아비산, 비화수소 등은 모두 맹독성으로 체중감소, 발암, 지각장애, 빈혈, 구토, 부종 등 만성중독과 혈압강하, 혼수, 경련 등 급성중독이 있으며, 적은 양으로도 예로 아비산은 5~50mg이면 중독량이 되고 100~300mg이면 치사량이 된다.
○ 그런데 As 오염은 농약, 살충제, 살균제, 광산폐수, 산업폐수 등에 의한 인위적 비소오염은 화학적 및 물리적 처리법으로 감소·제거할 수 있지만 메콩 삼각주에서처럼 퇴적물 중 황철석과 수산화철의 침전과 분해에 관계되는 오염은 자연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자연환경에서 As의 이동과 분포에 대하여 잘 이해하여야 한다.
○ 따라서 As의 피해를 막고 자연계의 비소 분포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As의 이동에 중요한 Fe수산화물의 환원분해, As의 종 분화와 농도에 영향을 주는 SO42-의 환원, As황화물의 용해도와 황화광물에 흡수되는 작용 및 해수의 혼입을 추적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본고는 메콩 삼각주 내 지하수를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동남아의 광역적 지화학도 작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주변 국가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종합적으로 비교 검토하면 아시아 대륙의 동남부를 포함하는 대륙적 규모의 자료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국내에서는 As 오염은 주로 광산과 산업단지 주변의 토양에 대하여 연구되었으나 삼각주 지대에서 우물물로 사용하는 지하수의 As 오염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농업용수로서 이용을 위해서는 강 하류의 삼각주 지대 지하수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조사·연구할 필요가 있다.
○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많은 자료들이 집적될 때 아시아의 여러 국가들과 공동연구와 협력이 가능하고 식수의 비소 오염이 심각한 이들 국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Kim Phuong Nguyen, Ryuichi Ito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03
- 잡지명
- 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8~69
- 분석자
- 이*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