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폰을 이용한 게임기의 바코드 이미지 식별처리 기술
- 전문가 제언
-
○ 기술 환경 측면에서 증강/가상/혼합현실(AR/VR/MR) 기술의 진화와 PC, TV, 카메라 및 이미지 스캔 기능이 집약된 스마트폰으로의 발전으로 IT비즈니스와 라이프 패러다임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2008년 이후 iPhone 출시로 가속화된 모바일 폰 응용 분야는 초기의 게임, 유료인터넷 사용, 위치정보 매핑, 방송 시청 등에서 양방향 상호작용, 위치정보에 의한 서비스 매핑, 가상체험, SNG게임, 폰 광고 활성화, RFID 리더와 스캐너 장착 등으로 진화하면서 객체와의 MR 영역을 확장시켜 가고 있다.
○ 비즈니스 측면에서 모바일 바코드 활용방식은 이미 상업적으로 검증된 서비스이다. 웹을 통해 모바일 폰에 ID, 콘텐츠, 포인트, 쿠폰, 상품권 및 교환권 등을 바코드로 생성하여 push/pull 형태에 의해 다운받아 활용하거나, 이벤트에서 직접 인식하여 웹에 접속하여 활용하는 형태가 있다. 공급자 측면에서 보면 기술 적용에 중점을 두는 형태의 고객관리 및 판매 촉진 위주의 시스템에서 스마트 폰에 의한 자율적 능동적 CRM 참여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 최근 QR코드나 이미지 코드가 재조명되면서 이 코드에 call back URL의 추가나 이미지 인식 각도의 세분화를 통한 코드의 알고리즘 개선이나 정보량을 늘린 Bokode 같은 기술이 발표되고 있다. 이 기술들은 응용 분야별로 경제성, 편리성, 정확성 측면에서 RFID와 경쟁하고 있으며, GPS 기술과의 융합으로 MR의 마커나 마커리스 기술로의 확장 가능성도 있어 응용 콘텐츠 개발과 함께 요소기술 개발 및 특허 확보가 필요하다.
○ 2009년 이후 2D 바코드 특히 QR코드 인식 관련 기술에 관한 일본 카메라 업체들의 특허 출원이 압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05년 이전에 주로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단말, 이동통신 업체 및 포털 플랫폼, 콘텐츠 서비스 방법, 과금 시스템, 게임 등에 대한 특허가 주를 이루었다. 이후 2D 바코드 알고리즘과 QR코드의 AR분야 이용 및 응용에 대한 특허가 증가하고 있긴 하나, MR 관련 이미지 코드 및 인식 분야의 기술 개발 및 특허 확보 노력이 요구된다.
- 저자
- WMS GAMING,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5672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4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