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모바일 폰을 이용한 상품라벨 위조방지 조회기술

전문가 제언
○ 화폐 및 금융상품, 신용 및 ID카드, 상품권 및 티켓류, 고가의 자산과 상품 및 포장라벨 등에 대해 다양한 방법의 위조방지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우리나라 화폐 경우 15가지 이상의 위조방지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데, 빛을 이용하는 광학적 방법, 시각적 이용 기술 및 홀로그램 이용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이 기술은 스마트 폰에 의한 혼합현실 구현을 위해 2D/3D 데이터 통신이나 마커 추적 기술과 함께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 2D 코드인 QR코드와 3D마커 추적코드의 합성, 칼라이미지 및 바코드 적용 관련 아이디어와 특허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시각과 분광 반사각에 의한 이미지 정보의 다양화, 인식속도 및 정학도 향상에 대한 알고리즘 개발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본의 카메라 업체 및 스캐너 업체들의 특허출원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국내의 전자통신 업체 및 연구소도 특허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 전통적인 이미지 코드는 시공간적으로 광원의 양에 따른 반사 스펙트럼으로 정보를 부호화하였으나, 최근 반사각도에 따라 광량이나 광 방향성을 개별적인 정보로 부호화하여 인식하는 방법으로 정보량과 인식속도의 한계를 극복하는 진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이러한 이미지 코드의 재조명과 혼합현실에서의 적용은 RFID의 대체기술로서 부각될 수 있어 RFID/USN 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추진력이 분산될 수 있다. 이는 대체기술이 아닌 융합기술로의 인식을 재정립되어야 한다.

○ 인증/인식 관련 기술개발 로드맵 상으로 볼 때 스마트 폰 복합기기로서의 RFID 리더 및 이미지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의 개발가속화가 검토되어야 한다. USN와 스마트 폰 비즈니스 관점에서는 “모든 사물통신의 최접점에서 사물의 ID를 RFID 태그로만 할 것인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저자
LO,ALLEN, K.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WO2010005092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1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