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원기반 개발도상 경제국에 있어서 기술집약적 공급자의 개발

전문가 제언
○ 본고는 “자원기반 개발도상 경제국에 있어서 기술집약적 공급자의 개발”을 주제로 주요 논점, 기술집약적 공급자의 중요성, 기술집약적 공급자의 개발을 결정하는 요인분석 모델,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술집약적 공급자의 역할과 그 개발을 촉진 또는 제약하는 모든 요인들의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을 기술하고, 불완전한 산업(non-exhaustive industry)을 위한 제품(자본재와 생산자원)의 공급자에 초점을 둔다.

○ 특히 본고에서 지식집약적 공급자는 노동집약적 공급자와는 달리 기술적 활동으로 특징지어지고, 한국, 대만, 싱가포르 및 홍콩에서는 정부의 정책 개입이 수출지향 부문을 지원하는 국내 기술역량을 창출하였다는 점과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기술집약적 공급자들은 하방적 산업(downstream industry)의 이점을 창출하고 그 발전에 영향을 미치며, 그들 고객산업의 경쟁력을 지원한다고 강조된 점이 주목된다.

○ 기술집약적 공급자의 개발은 국가경쟁력과 기업 경쟁우위의 핵심 요인이 되고 있어 갈수록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기술집약적 공급자는 자본재, 생산자원과 기술집약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 기술역량의 관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욱이 기술집약적 공급자는 적극적인 지식개발, 정보/기술이전의 촉진, 시의적절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실현하고 있다.

○ 오늘날에는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기술집약 시대가 전개되고 있다. 기술집약은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기술을 집중하는 기술 활동으로서 미래의 산업구조는 기술집약 산업이 주축을 이루게 될 것이며, 또한 기술집약적 공급자의 개발은 산업기반 강화와 1차 생산 경쟁력 지원에 기여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기술집약적 공급자를 개발하기 위한 정책조치가 필요하며, 특히 중소기업의 기술 집약화를 촉진해야 할 것이다.
저자
Carlos Torres-Fuchsloch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39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268~277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