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저장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이 발명의 청구 범위에 있어서, 제생에너지 생산시설과 관련하여 에너지 저장을 위해 에너지 저장시스템에 특성화된 에너지 저장시스템은 1)에너지 발생시설로서 발생한 저장에너지를 위해 압축된 고기에너지 저장장치, 저장 에너지는 그 시설로부터 순차적인 방출을 위한 저장에너지, 2) 에너지 발생시설로서 발생된 에너지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가스에너지 저장장치들, 에너지 발생에 대해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스, 그 시설로부터 순차적인 방출을 위한 발생된 에너지, 3) 회전운동의 에너지 저장장치들에서 회전 에너지 안에서 에너지 발생시설로서 발생한 저장된 에너지를 위한 회전운동의 에너지 저장장치들, 그 시설로부터 순차적인 방출을 위한 회전 에너지 등의 하나 이상을 채용하여 운영할 수 있다.
○ 재생에너지발전 비중이 높은데, 기후구조가 단일적이어서 재생에너지 발전양이 과도하게 많이 생산되거나 과도하게 적게 생산되는 지역의 경우 전력망 상호접촉만으로 수급균형을 유지하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 수 있다. 게다가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및 원자력 비중이 높아지면서 가스 및 석탄화력 발전소 비중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관해줄 수 있는 발전소의 비중도 축소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에너지저장 장치 시스템이 추가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 한국에서는 현재 시험 조력발전소 건설에 관한 조사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데, 앞으로 연구 개발되어야할 주요 대상은 깊은 수심에서의 연안구조물 설계와 시공기술, 조력발전소 수심에서의 연안 구조물 설계와 시공기술, 조력발전소의 주요부분인 수차발전기의 설계제작기술, 발전계통기술, 발전시스템의 자동제어기술, 해수에 의한 소재의 부식방지기술 등이다. 한국에서의 조력발전 건설은 서해안에 부존하는 천혜의 조력에너지를 개발함으로써 지역경제의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Ocean Wave Rocker AS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13145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7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