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폐기물(MSW)의 신재생에너지원: 중국의 현재와 미래 실천
- 전문가 제언
-
○ 폐기물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소각 열회수에너지와 고체연료에너지 및 열분해 생성물에너지로 나눌 수 있다.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생활폐기물에너지와 사업장폐기물 에너지(일명 지정폐기물에너지)로 나눠지고 폐기물의 상태에 따라서는 고상, 액상, 기상폐기물에너지로 분류할 수 있다.
○ MSW(Municipal Solid Waste)는 전 세계적으로 600개의 WTE(Waste to Energy) 설비로부터 연간 130x106톤이 연소되어 지역난방용 전기와 열 생산과 재활용되어 금속을 회수하고 있다. 고체 쓰레기의 처리에서 WTE 소각이 오랫동안 채택되어 왔는데 이는 MSW 소각으로 매립에 따른 수질과 가스공해 방지와 신재생에너지를 제공해 준다. 소각기술은 환경적으로 건전한 것으로 확인되어 유럽에서는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선진국인 일본과 싱가포르에서 활용되고 있다.
○ 본고에서는 WTE 중의 폐기물의 열처리에 의한 에너지회수에 주목하여 중국의 최근 도시폐기물 관리와 MSW의 특성, WTE의 개발, 중국에서의 WTE 소각에 대한 문제점과 전망을 소개하고 WTE를 실천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소각시설의 실례와 동시에 WTE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WTE 소각은 에너지지회수라는 경제적인 이득 이외에 지구환경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WTE 소각은 우리나라의 앞으로 닥칠 MSW 처리 문제를 도움과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원으로서의 공급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WTE에 대한 개발경험은 기타 개도국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저자
- Hefa Cheng, Yuanan H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101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816~3824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