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업용 나노재료의 노출에 대한 위해성 저감대책

전문가 제언
○ 나노 입자는 공기역학적으로 기체 분자와 유사한 활동성을 보이며 대형 입자에 비해서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사람의 폐 속 깊숙이 유입되어 큰 입자보다 유해하다.

○ 우리나라에서 방진마스크는 직결식과 격리식이 있으며, 여과효율과 통기 저항에 따라 등급이 구분되어 있다. 여과효율은 2급은 85% 이상, 1급은 95% 이상, 특급은 99% 이상으로 구분되고, 통기저항은 1급과 2급이 6㎜H2O 이하, 특급은 8㎜H2O 이하로 구분한다.

○ 방진마스크는 통기저항이 적고 여과효율은 높을수록 좋으나 여과효율은 통기저항과 반비례 관계여서 호흡저항 등을 감안하여 선택한다. 방진마스크의 성능시험은 흡기저항 시험, 분진포집효율 시험, 배기저항 시험, 흡기저항 상승시험, 배기면의 작동기밀 시험 등이 있다.

○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초미세 나노 입자를 포함한 에어로졸에 노출을 피하려면 방진마스크를 이용하되 먼저 에어로졸의 특성을 파악하고 다음 방진마스크 필터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 본고는 분진장애가 많은 작업장에서 호흡용 보호용구로서 방진마스크에 대한 특성과 분류 및 선택 방법을 보여 준다.

○ 그러나 아무리 분진마스크 포집필터의 성능이 좋아도 얼굴의 피부와 마스크가 잘 맞지 않으면 누설현상으로 오염물질이 침투하게 된다. 수년 전 서울지하철의 화재용 마스크가 누설 불량으로 밝혀져서 크게 사회문제가 된 바 있어 비상용 마스크의 품질안전이 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밀착도 검사를 해서 자신에 맞는 보호용구를 선택해야 하며, 한국인의 얼굴 특성에 맞는 방진마스크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본다.
저자
Toshihiko MYOJO, Takako OYABU and Isamu TANA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24(3)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6~190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