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포장 및 용기의 플라스틱 활용

전문가 제언
○ 2007년 식약청의 식품 용기·포장재에 대한 사용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합성수지제가 71.5%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합성수지제>유리제>금속제>종이제 순이며 합성수지제 중에서는 PE>PET>PP 순이다. PE의 경우 종류에 따라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해 레토르트 내포장 재질 또는 가정용 랩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PP는 내열성이 우수해 주로 밀폐 용기 또는 전자레인지 용기로 사용되었다.

○ 국내의 식품포장·용기의 플라스틱 사용 현황은 일본과 거의 비슷한 경향이다. 기술 수준도 거의 대등하여 일본에서 시판되고 있는 식품포장·용기는 대부분 국내에서도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 레토르트 파우치는 물론 수증기 누출 레토르트파우치, 마요네즈 및 케첩용 다층 블로우병, 맥주용 PET병, 무균밥용 다층용기 및 산소흡수용기, 커피음료용 다층 성형컵, 음료용 경량병 등이 생산 및 적용되고 있다.

○ 향후 식품포장·용기의 방향은 지구환경 보존이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대응하여 플라스틱 포장재의 사용량을 줄여 발생하는 포장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및 자원 낭비를 막고, 생분해성 플라스틱 및 바이오플라스틱의 적극적인 개발과 적용으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 나아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 대기업의 연구소, 학교, 정부의 산학 공동 연구 개발은 필수적이다.

○ 식품포장·용기는 포장된 식품을 우리 소비자가 그대로 취식하기 때문에 최우선 고려해야 할 것이 안전성이다. 그러기에 국민의 위생,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식약청에서는 사용되는 식품포장재의 철저한 위생 규격 기준을 설정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를 하여야 할 것이다. 더욱이 확인되지 않은 위해성 논란에 신속하고 명확하게 대응하여 단지 설에 의해 국민이 동요하고 기업의 흥망이 좌우되는 일이 없어야 하겠다.
저자
Tadahiko Kats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61(4)
잡지명
プラスチ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1~35
분석자
최*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