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태양광+수력발전 혼성 시스템에 의한 그린에너지 생산 타당성 검토
- 전문가 제언
-
○ 본고는 태양광과 수력(SHE: solar and hydro energy)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유럽 및 이와 유사한 지역에서 전력소비자에게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기술임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지속성은 태양광 발전과 수력이 재생에너지라는 데 토대를 두고 있다.
○ 모든 관련 사항을 통합 SHE 시스템에 연결할 목적으로 태양광 발전소의 최적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개발에는 지역의 기후변화, 태양광 조사량, 대기 온도, 저수지 용량, 저수지 수두, 강수량, 증발량 및 자연하천 유입량 등이 고려되었다.
○ 양수발전소의 전체 수두 이외에 태양 조사, 저수용량 및 저수지로의 하천수의 자연 유입량이 태양광발전의 용량을 결절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친다. 본고에서 얻은 결과는 태양에너지는 비교적 서늘한 기후조건으로부터 태양에너지가 풍부한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물은 재순환되므로 적은 용량으로도 태양광과 수력의 하이브리드 발전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 크로아티아공화국의 Vis섬과 같이 전력계통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연중 전력을 중단 없이 공급하기 위해서는 태양광발전과 양수발전의 혼성 시스템이 필요하나 전력망이 구비된 곳에서는 Vis섬과 같이 3~4개월간 사용할 정도의 저수량이 필요한 곳은 많지 않다. 태양광발전은 풍력에 비하여 발전원가가 아직은 고가이나 점차 발전원가가 저렴해지고 있고 건물지붕과 같은 장소에서는 태양광발전이 적합하여 활용가치가 크다.
○ 우리나라는 OCI 같은 기업에서 태양전지의 핵심원료인 폴리실리콘을 대량 생산하고 있어서 국내의 태양광 발전을 통한 재생에너지의 활용과 이의 수출산업화가 기대된다.
- 저자
- Jure Margeta, Zvonimir Glasnovi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1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580~1590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