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물곰의 저항성 분자기전:생물학적 물질의 보존과 안정화에 대한 전망

전문가 제언
○ 세균, 효모, 식물, 선충과 물곰 같은 많은 무척추동물을 포함해서 어떤 생물체는 체내 수분이 거의 고갈되어도 생존할 수 있다. 탈수가사로 알려진 건조한 유기체는 뚜렷한 피해 없이 수십 년 동안 이 상태로 남아있는 것 같다. 물이 다시 유효하게 되면 그들은 빠르게 재수화(再水和)되어 활성적 생명을 회복한다.

○ 탈수가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당대사와 스트레스 단백질에 주안점을 두었다. 건조와 수분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분자의 발견에도 불구하고, 탈수 동안에 세포구조와 대사기구의 안정성을 지배하는 조절된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은 아직 단편적이고 이해하기에는 불충분하다.

○ 세포막과 당의 분자 상호작용에 대한 지식은 불완전하며, 당 세포막 상호작용이 열역학적으로 양호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최근 연구에서 세포막은 당보다 물과 더 양호하게 상호작용하고, 당은 수화층에서 우선적으로 배제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 생물정보학적 수단과 함께 전사적, 단백질 분석학적, 대사적 방법은 탈수가사에 관련된 생물학적 기능과 생리학에 기초한 유전자 조절에 대한 지식을 보완할 수 있다. 이 개념의 발전은 건조한 상태로 있는 생물학적 물질의 보존과 안정화를 위해 흥미로운 가능성과 기술을 야기할 것이다.

○ 탈수가사 유기체, 건조과정의 적정화, 보관 등에 관한 보다 많은 연구는 건조 상태에서 장기간 동안 생물학적 물질의 보존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에서 탈수가사, 특히 물곰에 대한 연구는 찾을 수가 없으며 기초 학문에 뒤지지 않기 위해서는 이 분야의 연구도 필요할 것 같다. 탈수가사에 대한 기전이 밝혀지면 식품,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리라 본다.
저자
Ralph O. Schill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7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48~352
분석자
김*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