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 보수 개혁과 운전 중 보수
- 전문가 제언
-
○ 일본의 원자력발전기술은 Tokyo전력을 중심으로 한 50사이클 지역은 미국 GE형 원자력 발전소인 BWR(Boiling Water Reactor: 비등수형 원자로)를 도입하였고, Kansai전력을 비롯한 60사이클 지역은 미국 Westinghouse의 PWR(Pressurized Water Reactor: 가압수형 원자로)를 도입하였다.
○ 미국의 원자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허가는 건설허가를 받은 다음에 건설에 착수하고, 건설이 종료되기 전에 운영허가를 별도로 받는 시스템이나, 일본은 원자력발전소의 도입 초기부터 “원자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허가”를 받아서 건설이 끝나면 자동적으로 운전에 이르는 제도로 운영하고 있다.
○ 본고에서 다룬 정기검사 및 운전 중 검사 방식도 일반 화력발전소에 적용하였던 방식을 적용하며 미국의 핵연료 재장전 기간에 시행하는 PSI(Pre Service Inspection: 가동 전 검사) 및 ISI(In Service Inspection: 가동 중 검사)와는 다른 개념의 검사제도이다.
○ 한편 미국에서는 TMI(Three Mile Island)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원자력발전소 인허가를 개정하여 규제를 강화하였으나 원자력발전소의 건설과 운영허가는 일본의 방식대로 “건설 및 운영허가”를 일괄하여 발급하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 일본 원자력발전소의 핵연료 재장전 중에 시행하는 정기검사기간이 미국이나 한국에 비하여 장기간 소요되어 이를 개선하려는 시도는 올바른 방향이나 미국과 한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품질보증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가동률 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한다.
○ 한국은 미국 원자력발전소 기술을 일본을 거치지 않고 직접 도입하여 이를 발전시켜 지금은 원자력발전소 가동률이나 안전성에서 세계 최고의 위치를 점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수출로 이어지게 되었다. 한국 원자력 산업계의 발전이 계속되기를 바란다.
- 저자
- K. Oka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56(5)
- 잡지명
- 原子力EY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9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