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홈 네트워크를 위한 플라스틱 광섬유 기술

전문가 제언
○ 통신 네트워크의 유리 광섬유는 광 투과도가 높고 열적 안정성이 뛰어나 장거리 통신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외부충격에 깨지기 쉽고, 가공이 어려우며, 코어의 내경이 10μm 내외로 연결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반면에 플라스틱 광섬유는 저가인 동시에 1mm의 넓은 코어로 접속효율이 높으며, 저가의 LED를 광 소스로 사용할 수 있고, 부품의 저가격화와 뛰어난 벤딩 특성으로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 및 외부충격에도 강한 장점이 있다.

○ 플라스틱 광섬유의 응용은 옥외의 이벤트 장식이나 반도체 제조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오디오, 자동차 네트워크, 자동화 등의 통신 용도로도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자동차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유럽에서 플라스틱 광섬유가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며, 미국과 일본에서도 일부 자동차 메이커들이 플라스틱 광섬유를 채용하기 시작하였다.

○ 플라스틱 광섬유의 홈네트워크 응용분야에서는 일본의 일부 건설회사들이 모델하우스에 플라스틱 광섬유를 채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일부 통신회사들은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홈백본망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된 스마트 셔츠에 플라스틱 광섬유를 채용하여 사람의 심장박동, 체온, 혈압, 호흡 등을 감지하여 부상을 탐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향후 플라스틱 광섬유가 센서용으로 채용되어 미래의 '입는 컴퓨터'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미국, 일본, 스페인, 이스라엘 등에서 홈네트워크의 확산을 위해 미래형 무선 홈네트워크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고속 전력선통신, IEEE 802.11e/n, UWB(Ultra Wide Band) 등 광대역 무선기술과 ZigBee 등 저속 센서기술이 등장하여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50Mb/s 이상의 전력선통신, 400Mb/s의 UWB 칩, 250 Kb/s급 ZigBee 칩을 개발하는 등 무선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대학 등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의 구현방안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저자
Roberto Gaudino, Alessandro Nocivelli, Hans Krag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47(8)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8~68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