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간과 고양이 천식의 공통점

전문가 제언
○ 교통ㆍ통신ㆍ정보의 발달로 인간의 생활환경이 전 지구적으로 확장되는 오늘날 야생동물, 산업동물, 애완동물, 반려동물이 모두 인간과 생활환경을 공유하게 되었다. 비록 야생동물은 인간과 생활환경 공유영역이 적긴 하지만 생물학자, 생태학자, 해양학자 등 과학자 등과 공유영역은 급속히 확대된다.

○ 인간과 동물의 생활환경 공유는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인간과 동물의 공통성도 증가시킨다. 아프리카 밀림의 야생동물에서 HIV나 에볼라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전염?감염되었지만 아직껏 그 치료 대안마저 마련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 가축인 산업동물과 인축 공통성으로 인한 구제역의 감염과 동시에 수십만 마리의 소ㆍ돼지를 생매장으로 살처분 하는 대규모 살육 내지 살생의 사례가 금년(2010년)에도 한국과 일본에서 발생되었다. 이는 지하수나 토양오염 등의 새로운 환경오염 문제와 새로운 감염증과 전염병의 전파 문제를 야기할 우려를 낳는다.

○ 과거에도 식육견의 광견병 감염은 인축 공통성으로 인해 무자비한 살육과 살생을 감행해야만 했고, 주변의 식육견에서 약간 긁힌 자국이 생기거나 체액 접촉이 발생하면 광견병 예방주사와 치료를 받도록 경계령을 내리기도 했다.

○ 오늘날 애완동물은 개, 고양이 등에서부터 토끼, 돼지, 뱀, 카멜레온 등등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와 수는 폭증하고, 접촉 면에서도 삶을 보완하는 애완동물에서 삶과 일생을 함께하는 반려동물로까지 급격히 가까워졌다.

○ 인간과 삶을 함께하는 반려동물도 일반화되는 현대의 생활환경에서,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인축 공통성의 연구와 대비책이 조속히 마련되지 않는다면 인축 공통의 질병 감염 문제로 인해 반려동물을 수백ㆍ수천만 마리씩 대량(미국의 애완 고양이만 6,800만)으로 살생하는 참극이 초래될 수 있는 안타까움 내지 불안감이 앞서기도 한다.
저자
Carol A. Reinero, Amy E. DeClue, Peter Rabinowit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09
잡지명
Environment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34~640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