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이동의 메커니즘
- 전문가 제언
-
○ 세포이동은 암, 동맥경화증, 관절염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질병의 진행에서 고도로 집적된 복합적 과정으로서 배아의 형태형성, 조직재생, 면역 감시기구로부터 암이나 동맥경화증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피부 상처치료, 면역 반응과정에서는 특정한 방향으로의 세포이동이 필요하다.
○ 최근 발표에 의하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Kinase(Pseudopodium Enriched Atypical Kinase 1; PEAK1)가 세포분열, 형태, 이동을 조절하며 암세포의 진행이나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 새로운 Kinase나 효소는 세포의 형태, 결합력, 이동성을 제공하는 세포 내의 작은 필라멘트와 미세소관의 내부구조인 세포골격을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Pseudopodium은 이동하는 세포표면으로부터 돌출한 고도로 특성화된 구조로서 세포막에 붙어 세포를 앞으로 끌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암세포가 전이할 때에는 이런 방법으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이용한다. 암세포는 원발성 종양으로부터 분리되어 세포 외로 침습한 다음 혈관계로 들어가 멀리 떨어져 있는 조직으로 퍼져 새로운 종양을 심게 된다.
○ 현재 암의 발견은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다음에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에는 이미 암세포가 전이단계에 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이전의 암세포의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초기 암세포의 이동에서 발견되는 특성화된 Kinase나 효소가 이 질병의 마커로서 확인될 수 있도록 아직도 초기 연구단계에 있는 세포이동 메커니즘 규명에 대해 국내 학계의 보다 적극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Hiroko Sa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55(1)
- 잡지명
- 蛋白質核酸酵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1~47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