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에 기반한 중국 8개 경제지역의 기술혁신능력 평가
- 전문가 제언
-
○ 본고는 “특허에 기반한 중국 8개 경제지역의 기술혁신 평가” 주제 하에 서론, 데이터 출처와 방법, 중국의 특허 패턴, 중국 8개 경제지역의 특허출원 분석, 결론으로 구성되었으며, 중국 전체를 8개 지역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2개 그룹으로 구분하였으며, 특허를 주요 지표로 하여 기술혁신능력을 평가한 점에 특색이 있다.
○ 기술혁신능력 가운데 하나의 중요한 지표는 특허의 수이다. 본고는 1999~2004년 기간 동안에 중국 8개 경제지역의 중국특허의 출원 활동을 분석한다. 이 분석은 기관 형태, 주제 분야, 협동 및 기술 분포에 기반을 두고 분류되었으며 또한 다양한 지역과 상이한 기관에서의 GDP, R&D, 중국 특허출원 간의 관계를 논의하고 있다.
○ 이 연구는 8개 경제구역에 기반을 둔 중국의 특허 데이터를 심층 분석하고 중국의 기술혁신능력을 평가하였다. 중국통계청이 발표한 데이터는 GDP와 R&D 지출이 1999~2004년 중국 8개 경제지역에서 극히 불균형적임을 보여주었다. 북해안은 최고의 R&D 지출을 하였으며 북서지역보다 거의 20배 많았다. 북해안-북서구역의 GDP 비율은 약 6배였다. 그래서 과학기술 개발과 경제성장이 상이한 경제구역에서 크게 달랐다.
○ 북해안과 동해안 지역이 중국 특허출원의 대부분에 기여하였다. 두 지역의 특허출원의 수와 지표들을 비교하였을 때 약간 흥미로운 현상이 있다. 북해안이 특허 누적 수에서 최고이고, 기관특허 역시 약간 더 많았다. 그러나 백만 명당 특허출원과 1억 위안(yuan) R&D 지출당 특허출원에서는 동해안이 앞선다. 이것은 동해안지역에서 개인의 특허출원이 북해안보다 평균적으로 더 높았음을 의미한다.
○ 본고에서 중국의 전 국토를 특허를 기반으로 하여 8개 경제지역으로 구분하고 특성에 주목하여 2개 그룹으로 구분한 연구는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상당히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러한 연구가 심도 있게 수행되어 그 결과가 경제정책 및 각 경제지역의 R&D 투자 배분 등에 반영되어 경제정책의 효율화, 국토의 균형발전과 과학기술의 전반적 확산에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Chen Yunwei,Yang Zhiping, Fang Shu, Hu Zhengyin, Martin Meyer, Sujit Bhattachary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31
- 잡지명
- World Patent Inform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04~110
- 분석자
- 고*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