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성 나노입자의 합성, 기능화 및 바이오 분야 응용

전문가 제언
○ 강자성체가 나노미터 크기가 되면 자기구역의 크기와 유사해져서 상온에서 자기장에 의해서 자화와 이완이 반복되는 소위 초상자성 특성을 갖게 된다. 초상자성 나노입자는 수용액에 적절하게 분산시키면 생체 내 주입이 가능해져서 외부 주기장에 의해서 입자의 자기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이오의학 분야, 특히 MRI의 조영제와 같은 분야에 응용하는 기술은 이제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 나노입자 표면에 다양한 바이오분자를 결합시키면 인체 내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입자가 되는데, 암에서 분비되는 특정 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분자를 결합시켜 암을 추적하고 이를 파괴시킬 수 있는 기술이 현재 대단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 분야가 다양한 나노기술 분야 중에서 가장 먼저 실용화를 이룰 것이라는 것이 필자를 포함한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 이 글은 Brown University의 Shouheng Sun 교수 팀이 자성 나노입자의 합성, 기능화 및 바이오 분야 응용에 관한 연구동향을 소개한 리뷰논문을 필자가 간략하게 요약한 글이다. 리뷰의 내용 중 자성 나노입자의 응용 부분에 제목에는 소개되지 않은 자기에너지 저장 부분이 있으나, 자세히 검토해 본 결과 자성체의 물리적 특성을 소개하는 데 치중하였기 때문에 필자도 논문의 제목과 맞지 않는다는 판단하에 이 부분을 생략하였다.

○ 나노입자와 관련된 국내 연구 활동도 비교적 활발한 편인데, 특히 서울대학교 화학과의 현택환 그룹이 개발한 독창적인 합성방법을 소개한 연구논문들은 다양한 연구논문에 인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Angewandte Chemie와 같은 유수한 학술지에 나노입자와 관련된 리뷰논문을 기고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등 우리나라의 나노입자 분야 기술 수준이 결코 뒤떨어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다.
저자
Natalie A. Frey,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38
잡지명
Chemical Socie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532~2542
분석자
이*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