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관절의 기능향상과 앞으로의 과제
- 전문가 제언
-
○ 21세기의 산업들 중에서 가장 전망이 밝은 산업이 의료기기 산업이라 말하는 학자도 있을 만큼 의료기기 산업은 중요하며, 인간이 생존하고 있는 동안 자기 의사대로 자유롭게 활동하고 움직일 수 이도록 하는 것이 건강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 의료기기 산업에는 임상치료용과 임상재활용, 임상응용 부품 등이 있다. 임상재활용 기기의 대표적인 것은 보행훈련 시스템(Gate trainer)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며, 임상응용 부품에는 인공관절이 있다.
○ 인공관절은 사람의 연령이나 신장의 크기, 생활습관 등에 따라 그의 형상과 크기 등은 다양하다. 현재 세계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인공관절은 기성복처럼 어느 규격에 맞추어 제조된 것이 대부분으로 환자 개개의 특징에 맞춘 것은 아니다. 따라서 환자 자신의 뼈와 인공관절의 대체 수술을 하였을 경우 거부반응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최적인 재료의 개발과, 개개의 인체 특성에 맞는 주문형식(Order made)의 가공이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 뛰어난 오더메이드에 대응하려면 훌륭한 가공기술이 필요하다. 인공관절들은 모두가 3차원 이상의 형상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의 크기는 대부분 소형이므로 가공기계의 규격도 소형으로 가능하지만, 다축제어가 가능하고 특이한 형상에 대한 대응이 용이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인공관절의 가공은 다품종 소량생산이고 피가공물의 크기가 작으면서 초정밀가공을 요하는 것이므로 대기업 보다는 중소기업의 특성에 잘 맞는 것이라 생각된다.
○ 환자 개개인의 뼈 형상의 정보는 진료의사가 가장 정확히 알고 있으며, 가공기술자는 이 정확한 정보로부터 가공이 이루어져야 함으로 인공관절의 가공은 진료의사와 가공기술자의 신뢰성 있는 협력 하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의학계와 공학계의 적극적인 연계가 이루어져야 임상응용 부품개발 또는 의료기기산업의 발전이 크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Tomihara MATSUSHITA, Tadashi KOKUB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51(590)
- 잡지명
- 塑性と加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2~186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