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유전자원 광맥 캐기
- 전문가 제언
-
○ 다양한 작물 유전체들에 대한 엄청난 양의 염기서열 분석정보들이 공개적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이런 작물 유전체에 대한 정보로부터 농업적으로 중요한 유전자들에 대한 새로운 초우량 대립형질들을 확인하고 분리하여 작물 품종 개량을 더욱 발전적으로 전개해 나갈 수 있다.
○ 대립형질 광맥 캐기(Allele mining)는 자연계에 분포하는 대립형질 간의 차이를 상세히 분석하여 농업적으로 핵심이 되는 형질들을 작물 품종 개량에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게 하며, 또 대립형질의 진화과정, 새로운 일배체형의 확인 및 대립형질 선별 마커의 개발에 도움을 준다.
○ 대립형질 광맥의 무한한 잠재력을 현실화시키기 위해서 세계 각국의 작물연구소들은 서로 협동하며 대립형질 광맥 캐기를 진행시키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 개념, 접근방식 및 활용에 관해 소개하면서 대립형질을 더 신속하게 찾아내기 위한 더욱 세밀한 ‘채광’ 전략의 필요성과 분자 수준의 품종개량에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 국립생물자원관은 생물다양성보전 및 복원의 원천기술과 생물자원을 현명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활용기술개발을 위해 2010년 5월에 ‘야생생물유전자원센터’를 개소하였다. 본 센터는 유전자 및 유전체 연구를 수행하는 유전자원연구팀과 종자, 배양, 천연물 연구를 수행하는 활용지원연구팀으로 구성되었으며, 한반도 자생식물 유전자원의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 및 미래성장 동력인 유전자원의 연구와 활용가치 증대를 위한 체계가 갖추어졌다.
○ 농촌진흥청은 친환경 최고품질 벼 품종 “진수미”를 육성하였다. 진수미는 여러 가지 기상재해와 병충해의 피해가 많은 우리나라 남부지역에서 재배하기에 적합한 품종으로 2008년에 육성되었다. 쌀알이 깨끗하고 내병성을 갖추었으며, 최고 수준의 밥맛을 보여 쌀 시장의 개방에 따른 국제경쟁력과 함께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 저자
- G. Ram Kumar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28
- 잡지명
- Biotechnology Adva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51~461
- 분석자
- 장*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