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HPMA 공중합체-약물 접합체의 개발 현황

전문가 제언
○ 의약연구에 사용되는 폴리머 가운데 수용성 폴리머가 단백질과 리포솜의 변환, 바이오 물질의 표면 변환, 그리고 약물, 유전자 및 올리고핵산의 운반체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1974년 이래 이식재로서 친수성 폴리머의 생체적합성과 생물학적 활성물질(약물)의 운반체로서 수용성 폴리머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 PEG 기반 하이드로겔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제 응용에 제한을 받는 이유는 낮은 강도와 약물방출 특성에 있다. 이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하이드로겔에 소수성 단량체의 공중합을 통하여 겔 내에 소수성 약물의 결합과 겔의 부피를 줄여 평균공극 크기의 감소를 통한 약물 방출 속도를 조정하는 methacrylic acid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HPMA 공중합체가 우월성을 가진 재료로 평가된다.

○ HPMA 공중합체는 비 생분해성으로 인체에 적용함에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폴리머 운반체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polyglutamic acid가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dextrin, polyacetal, polylactic acid 등의 약물접합체들이 현재 임상시험 중에 있다.

○ Cyclodextrin을 하이드로겔에 도입함으로써 히이드로겔의 특성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소수성 약물을 효과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acrylic acid, N-isopropylacrylamide, 2-hydroxyethyl acrylate 과 같은 vinyl 단량체를 acrylamidomethyl- 또는 acroyl- 기를 가진 cyclodextrin에 공중합 시켜 얻은 하이드로겔의 약물탑재 효율과 방출에 대한 연구 등, 최근 국내에서도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성균관대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에서 약물전달 및 관련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다.

저자
Jindrich Kopecek, Pavla Kopeckov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62
잡지명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22~149
분석자
엄*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