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제조공정의 발전
- 전문가 제언
-
○ 석유자원의 고갈과 화석연료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배출 감소를 위해 재생 가능한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바이오디젤은 중요한 대안 중의 하나이다.
○ 식물성 기름은 점도가 커서 내연기관의 연로로 사용하려면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다. 그 방법들은 그대로 소량을 섞는 방법, 에멀전을 만드는 방법, 열분해에 의한 디젤 또는 가솔린 영역의 탄화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이 있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으로 지방산 메틸에스테르(FAME)를 만들어 바이오디젤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주로 알칼리 촉매 공정을 사용하고 있고 FFA가 많은 경우에는 산 촉매 공정도 사용하지만 반응속도가 매우 느리다. 효소를 사용하는 방법은 효소의 가격이 높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고 상업화되지 않았다. 그밖에 초임계 반응법, co- solvent를 사용하여 반응물을 모두 한 phase의 용액으로 만드는 BIOX 공정이 개발되어 상용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공정에서는 촉매의 중화와 처리, 반응물의 분리, 메탄올의 회수 및 재사용에 필요한 공정에서 에너지가 크게 소요되고 있어 바이오디젤을 활성화하려면 경제적인 공정개발이 필요하다.
○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한 FAME의 제조 외에 열분해나 접촉분해 방법으로 디젤 또는 가솔린 영역의 탄화수소를 생산하는 방법도 검토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식용유에서 제조하고 있으나 식용유는 세계적으로 식량문제와 결부되어 있어 비식용 기름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 저자
- Mustafa Balat, Havva Bala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87(6)
- 잡지명
- Applie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15~1835
- 분석자
- 어*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