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X염색체 불활성과 질병

전문가 제언
○ X 염색체의 불활성은 포유동물에서 암컷과 수컷 사이에 X염색체에 연관되어 있는 유전자의 도수를 조절(dosage compensation : 양의 보전)하는 메커니즘이다. 사람의 경우, 여자의 XX와 남자의 XY 사이에서 기능적으로 동일하게 작동하게 여자의 세포에서 두 개의 X 염색체 중 하나를 침묵시키고 이를 X염색체 불활성(X chromosome inactivation: XCI)이라한다. 이 X염색체 불활성의 dosage-compensation기전은 Xist RNA의 기능에 기초를 두고 있다.

○ 실제로 세포 안에 몇 개의 염색체가 있는지 염색체 수를 계산하는 일이나 어떤 염색체를 선택해서 침묵시키는 것은 적절한 과정이 있어야하며, 여기에 코드하지 않는 17 kb RNA, Xist가 X불활성을 작동하며 Xist에 의해 묵살되는 유전자는 발생의 초기단계에서 배와 혈액을 만드는 모혈전구세포에서만 발견된다.

○ 림프세포에서 Xist에 의한 유전자묵살이 암과 연관이 있으며 이 종양을 이용해서 AT가 많은 부위에 연결되는 SATB1 단백질이 거기에 묵살인자로 확인되고 있고 후생유전과 관련이 있는 DNA와 히스톤의 메틸화도 관련이 있다. 암전구체에서 Xist에 의한 염색체 묵살이 SATB1의 발현 때문이라는 것은 후생유전적인 수단으로 암 생물학에 접근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 최근에 dosage compensation이 일어나는 과정과 불활성에 관련 요소와 그 구조적인 위치가 질병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발견되고 그리고 X 불활성이 노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의문이다. 이 리뷰에서는 X 불활성과정에서 염색체를 계산하고 선택하는 것이 병리와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요약하고 있다. X염색체 불활성은 발생 초기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DNA 시퀀스보다도 후생유전적인 변화를 연구한데 좋은 모델로 생각되며 후생유전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데도 대안을 제공하리라 본다.
저자
Ruben Agrelo, Anton Wut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1
잡지명
Seminars in Cell & Developmenta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94~200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