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곤충 성장조절제(IGR)로 다이아릴 헤테로고리 화합물

전문가 제언
○ 살충제는 작용 메커니즘과 작용점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분류되며 신경계와 대사계에 작용하는 살충제가 대부분이다. 대사계 살충제는 에너지대사억제제, 키틴생합성 억제제 및 호르몬 균형교란제로 분류되며 그 중 새로운 형태의 살충제로 키틴 생성억제제인 성장조절제가 흥미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계통의 살충제가 벤조일페닐유레아(BPU)계이다.

○ 제1세대의 곤충 성장조절제인 BPU의 연구는 새로운 제초제의 개발로부터 시작되었다. 새롭게 합성된 BPU는 제초활성을 완전히 잃었지만 나비목 유충에 특이적인 살충효과가 확인되기 때문에 살충제로 사용되었다. 유충의 탈피 후 정당한 표피가 형성되지 않고 죽음에 이르는 것이며 작용 메커니즘은 곤충의 피부 구성성분인 키틴 생성억제이다.

○ BPU는 곤충에 대해서 식독제로 작용하지만 효과가 느리다. 곤충 피부의 투과성이 약하고 가스효과도 나타내지 않는다. BPU는 수십 년에 걸쳐 수많은 화합물이 합성되어 생물평가실험을 거쳐 시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사용량과 작용점에 대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 결점을 보충하는 새로운 키틴 생성억제제가 개발되게 되었다.

○ 제2세대 조절제로 알려진 새로운 다이아릴 헤테로고리(DAH) 화합물은 살란과 살유충효과가 있는 살진드기제이다. DAH의 개발 목표는 BPU의 단점을 보완하는 데 있다. 교차내성을 나타내지 않고 동시에 유용 곤충과 포식성 응애에 영향이 없으며 종합적 병충해 관리에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화합물, DAH가 개발되어 시판되었다. 작용 메커니즘은 응애의 배(胚)가 발육할 때 표피형성 억제이다.

○ 살충과 살진드기제로 DAH의 연구개발에 가장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한 회사는 Yashima 화학이다. 그 후 DAH에 관한 다양한 특허가 출현되었다. 출원 건수가 가장 많은 Bayer AG는 2004년에 공개된 특허를 마지막으로 오랜 세월동안 이어온 이 분야의 합성연구를 종식하게 되었다. 곤충성장 조절제의 상품화에 대한 생물평가와 현장평가의 어려움을 말해 주는 것이다.
저자
Kumada, 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38(11)
잡지명
ファインケミカル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20
분석자
허*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