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생산하는 개선된 공정
- 전문가 제언
-
○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 활동과 이의 소비로 인해 발생되는 생태학적 및 환경적인 유해요소를 제거하고 감축하는 문제는 세계적인 관심이 되고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식물 또는 특정 산업폐기물을 활용하여 연료제품을 생산하는 바이오매스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재생연료는 품질이 낮고 복잡한 분리와 정제공정에 따르는 높은 투자비와 낮은 경제성은 바이오연료 기술의 큰 해결과제가 되고 있다.
○ 종래의 바이오 오일 생산 공정은 제품조성이 복잡하여 제품의 분리가 어렵고 공정이 복잡하여 경제성이 낮았다. 이 발명의 공정은 부산물이 적고 제품조성이 간단하며 높은 품질의 바이오 오일 조성과 높은 액체수율을 얻을 수 있다. 이 공정의 원료 전처리, 촉매의 존재 하에서 극초단파의 열분해 처리, 촉매개질 처리, 촉매의 선택 및 공정의 배열은 특허청구의 범위로서 우리 바이오매스의 비교 대체기술의 연구가 필요하다.
○ 발명의 공정에서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열분해 이전에 바이오매스의 산성 전처리 단계와 응축 이전에 개질 단계를 채택하여 공정을 개선하여 조성이 간단하고 높은 순도의 바이오 오일 프로파일의 제품을 생산한다. 공정의 배열과 또한 열분해 및 개질 공정에 사용하는 촉매의 조성과 제조 조건은 특허의 청구범위로 우리나라 바이오매스 기술에서 기술의 차별화를 찾고 대응할 수 있는 대체 공정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이 공정은 옥수수, 포플러, 밀짚, 사탕수수, 사탕무, 팜 오일과 같은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대규모의 산업적인 바이오 오일의 제조가 가능하고 연관된 정밀화학 제품의 생산도 가능하다. 바이오매스 원료로서 고체 음식쓰레기와 산업폐기물을 포함하여 특히 섬유소, 리그인, 전분, 기름, 단백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원료를 처리한다. 석유자원이 전무한 우리나라 특성에 잘 맞는 바이오 오일 제조기술로서 이 분야의 연구개발 또는 발명특허가 시급히 요구된다.
- 저자
-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esota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3351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1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