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펜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인류가 유인원과 다른 점은 직립보행과 언어사용 외에도 문자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한다는 점이다. 인류문화는 문자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류역사를 문자로 기록, 보존하는 유구한 역사 가운데 인쇄문화가 도입되고부터 인류문명은 급속도의 빠른 발전상을 보였다. 20세기 말에 등장한 컴퓨터는 이러한 인류문화의 발전속도를 한층 더 높여준 계기가 되었다.
○ 기록문화는 지식사회의 중요한 자원이다. 세계의 기록유산은 인류가 함께 공유해야 할 지적자산이다. 선사시대의 인류의 조상들이 암벽이나 돌, 나무 조각 등에 기록하던 기록문화가 종이의 발명으로 한층 더 다양하게 발전하였고 이러한 종이에 의한 기록문화는 디지털화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도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 본고에서는 디지털시대에 등장한 각종 디지털 펜과 관련기술, 디지털 펜의 기능과 역할 등에 관한 고찰로서 손가락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발전과 함께 쌍방향 통신의 일환으로 펜으로서의 역할과 정보통신 기기로서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디지털 필기구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결과를 다루었다.
○ 전 세계의 과거와 현재의 기록을 볼 수 있는 ‘2010 국제기록문화 전시회’가 2010년 6월 1일 서울 COEX에서 개최되었다. 동양의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팔만대장경, 서양의 기독교문화를 대표하는 구텐베르크의 성경원본, 백설공주 등의 그림동화를 포함한 전 세계 47개국의 중요 기록물이 전시되었고 기록관리 분야의 최첨단 친환경 기술, 장비 등이 선보였다.
○ 이번 전시회를 통해 우리나라의 우수한 기록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고 한국의 기록관리 분야의 위상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며 국민들에게는 우리 민족의 우수한 기록문화 전통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각종 문화유산에 대한 기록보존이 디지털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기술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 저자
- Seiichi Uchida, Marcus Liwicki, Masakazu Iwamura, Koichi Kise, Shinichiro Oma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64(3)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93~298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