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성 황산염 토양이 인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 산성 황산염 토양이 수생 생태계와 농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서 산성 황산염 토양을 관리할 수 있는 대책도 만들어졌다. 그러나 근래의 도시화에 따른 산성 황산염 토양의 영향은 아직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오스트레일리아의 서부해변은 황화철을 함유하는 퇴적물이 많은 지역인데, 토지소유자들은 산성 황산염 토양이 자기 토지에 있을 경우 건축규제 또는 개발단가 상승으로 인하여 산성 황산염 토양문제를 무시하는 경우가 있다. Queens land주에서는 주정부 차원에서 산성 황산염 토양문제를 다루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김해평야의 논 토양에 3,000ha 정도의 산성 황산염 토양이 분포되어 있고, 포항 영일만 주변 영덕, 울산, 경주 지역이 산성 황산염 토양 피해 가능 지역이다. 실제로 경주 보문단지 골프장 건설 시에 산성 토양층이 노출되면서 공사 후에 잔디와 조경수가 말라 죽은 적이 있었다.

○ 산성 황산염 토양에 대한 일반적 대책으로는 토양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30cm 이상 복토하고, 객토재원으로 산성 황산염 토양의 사용을 금지하며, 수목류 조경 시는 해송과 같은 내산성 수종으로 조림하고 50㎝이상 복토하며, 산성 황산염 토양의 문제가 국지적 규모로 발생할 때에는 석회를 살포하여 중화하는 방법이 있다.

○ 산성 황산염 토양의 피해를 관리하는 데에는 토양환경과 기후변화 요인 외에도, 사회적, 법률적, 정치적, 경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 예로 인도네시아의 산성 황산염 토양 피해를 입은 벼농사 농민들에게 경작하던 논을 포기하고 다른 지역으로 이주시키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러한 문제는 경제 사회 정치적인 면을 떠나서는 해결할 수 없다.
저자
Karin Ljung, Fiona Maley, Angus Cook, Philip Weinste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5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34~1242
분석자
길*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