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플라스틱 산업의 최신 동향
- 전문가 제언
-
○ 국내의 2009년도 플라스틱 원자재는 전년도 1,072만 톤보다 10%가 증가된 1,180만 톤이 생산되었다. 그 중 PP가 가장 많은 371만 톤이 생산되어 전년대비 13.1%가 증가되었고 수출량은 722만 톤으로 생산량의 61.2%를 수출하였다. 이는 전년도 보다는 100만 톤이 증가된 수치이다. 수입량은 전년도 보다 2.3% 감소된 13.5만 톤이다. 수입되고 있는 원자재로는 주로 LDPE, PS, PVC 등이며 이 세 가지 품목이 75%를 점유한다.
○ 2009년도 플라스틱 원자재의 국내 수요량은 전년도 보다 2%가 증가된 471만 톤이다. 2009년도 국내에서 수요가 가장 많은 원자재는 PP이며 135만 톤이 사용되었다. LDPE가 109만 톤 HDPE가 88만 톤이 사용되어져 이 두 가지를 종목을 합하면 PE 계열이 197만 톤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일본에서는 플라스틱 생산량이 줄어든 반면 국내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다. 이는 일본은 중국, 동남아 등 현지 생산으로 대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에서도 OPP 등은 베트남 등 동남아로 기술 및 설비 이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능성 플라스틱 등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 국내에서도 지구환경 보호라는 대명제 하에 분해가 가능한 PLA, PCL,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플라스틱이 개발 또는 적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러나 강도, 신장률 등 물리적 특성 및 가공성이 떨어지고, 높은 고가, 분해속도, 재활용이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원가절감 및 공정 개선 등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내열성, 가공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 개량, 생산 공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 제품 사용 후 회수 제품의 재활용 가능성 증대 등을 목표로 연구를 지속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Kiyoshi Chuj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61(4)
- 잡지명
- プラスチ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24
- 분석자
- 최*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