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 및 희유금속의 현상과 과제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녹색기술 성장 동력으로써 자동차 배기가스 청정화와 태양전지 개발 및 연료전지 자동차 및 고기능성 전자기기 등을 국책사업으로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 가장 핵심이 되는 소재는 Pt, Pd, Rh, 등의 희유금속이다 이들 금속이 아질산 가스등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원소이고 또 전자전도체와 이온전도체 역할을 할 수 있는 원소들이라 각 분야에서 용도개발과 성능향상이 개발되고 있다.
○ 희유금속 중에서 우리나라는 금은 광산에서 Au, Ag를 소량 생산하고 있고 수입하는 동정광과 연정광 중에는 Au, Ag, Se, Te, In 및 Bi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정광중의 Au가 약 5gr/톤이면 Ag는 대략 100배 함유된다. 이들 정광중의 Au, Ag 품위는 변동이 많아서 일정하게 평가할 수 없지만 가령 온산동제련소가 동정광 50만 톤/년 제련할 경우에 Au는 년 간 2.5톤/년 생산되는 셈이다. 제련소에서 희유금속 회수는 전해정련 중에 슬라임으로 회수하여 제련법에 따라 분리한다.
○ 대한중석 상동광산의 회중석광은 세계 굴지의 광산이었으나 심부로 채광할수록 품위가 낮아져서 1980년대에 폐광하였는데 이 중석광 중에는 CaWO4, MoS2, Bi2S3, Au, Ag가 함유되어 있어서 선광, 제련 시에 회수하였다. 현재는 암모늄파라텅스테이트 등을 수입하여 텅스텐금속을 생산하고 있다.
○ Ta, Nb은 강원도 상동지역의 주석광 중에 (Fe,Mn)(Nb,Ta)2O6 콜럼바이트형으로 포함되어 있으나 매장량이 희소하여 개발가치가 없고, Ce, Y 은 우리나라 동해안 샌드 중의 모나자이트 샌드로 포함되었으나 희소하며, Ti은 연평도 일대가 거의 다 타타늄자철광(TiO2 약 15%)이라 광량은 풍부하지만 철광석과 분리가 곤란하여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희유금속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 리사이클링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Toru H.OKAB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74(3)
- 잡지명
- 化學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02~108
- 분석자
- 황*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