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GF-β에 의한 면역억제작용
- 전문가 제언
-
○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는 예부터 면역억제성 Cytokine으로 알려져 있다. TGF-β는 주로 T세포에 작용해서 면역억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그의 작용 메커니즘의 대부분이 아직은 알려져 있지 않다.
○ 그러나 TGF-β가 Foxp3(Fork head box P3)을 유도하는 것으로 발견되었으며 TGF-β의 면역억제 기능의 하나는 유도성의 억제성 T세포(iTreg : inducible-Treg)의 유도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하지만 한편으로는 TGF-β는 IL-6(Interleukine-6)하고 공존하게 되면 Th17(T helper 17)이라는 염증성의 강한 세포를 분화하여 유도하게 한다. 인간의 장내에서 Th17 세포의 과잉생성을 초래하는 세균의 종을 밝혀내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세균이 방출하는 신호(내인성 면역계를 자극하는 분자)를 밝혀내는 데도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 염증질환이나 자기면역질환에 관여하는 새로운 T helper 세포가 동정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세포가 바로 IL-17을 생산하는 Th17세포이다. IL-17은 강력한 사이토카인 면역계를 교란시키는 인자로서 이미 확인된 바 있다. 또한 Th17 세포의 분화 및 생성 메커니즘과 면역반응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Th17의 유도는 고전적인 Smad 경로는 이용하지 않으며, TGF-β가 정반대 성질의 iTreg과 Th17을 유도하는 의의는 아직은 알지 못하고 있다. 또한 TGF-β에는 Foxp3에 존재하지 않는 면역억제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게 되었다.
○ TGF-β으로 인한 IFN-γ 억제는 Foxp3이 없이도 일어나게 되며, TGF-β는 아직까지는 알지 못하는 많은 여러 Cytokine이 있으나 면역통제나 병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규명되지 않는 부분의 TGF-β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전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Akihiko Yoshimu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28(11)
- 잡지명
- 細胞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28~1134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