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북아시아 기후변화와 변동성이 유역 생물지구화학과정과 수질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 몬순기후와 더불어 최근의 두드러진 현상인 기후온난화는 특히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강우패턴과 강수량의 변화 및 극단적인 기후변동성의 빈발로 인해 이 지역의 물 순환을 교란시키고 있다. 최근 동북아 북반구 지역의 균일한 기후변동성 패턴과는 반대로 하절기와 동절기를 가리지 않고 강우변동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확실해 보이며, 중국 중남부 지역에서 현저히 나타나고 있다.

○ 특히 빠른 인구증가와 경제성장으로 인한 물 수요의 급증으로 동북아의 수자원은 기후변화와 기후변동성에 특별히 취약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 지역에서 안정적인 수자원 관리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 기후변화 및 강우변동성의 증가는 특히 수질에 중대한 영향을 주어 인간의 건강과 수생태계에 막대한 사회경제적인 비용부담을 주고 있으며 지표면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동북아 북반구 지역에서의 빠른 해빙과 눈이 녹는 현상은 몬순 강우와 더불어 유역에서 용질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저수지나 강의 수질악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각종 영양소와 오염물질 이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 따라서 동북아 산림유역에서는 몬순기후와 지리형태학적인 특성에 따른 계절적인 강우변동성은 유럽이나 북미지역보다 그 피해가 크기 때문에 한층 더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특히 이 지역에서 연간 몇 차례 발생하는 태풍은 생물지리화학 과정 및 수질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철저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한국에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4대강사업도 이에 대한 근본적인 수질대책 수립의 일환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는 그간의 농지확대정책이 강우변동성으로 인해 토양부식이라는 취약성을 안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기후변화, 토지이용 및 대기오염 배출과 같은 1차 환경요인이 유역의 생물지구화학 과정과 수질에 주는 복합적인 영향과 상호작용에 유의해야 한다.
저자
Ji-Hyung Park et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6(1)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2~225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