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도 및 온도 개별 제어 공조 시스템의 실용화 기술개발
- 전문가 제언
-
○ 빌딩의 공조 시스템에 대한 기본 방식은 일반적으로 열에너지의 운반방식에 따라 전공기식, 물-공기식, 전수방식, 냉매방식, 제습 공조식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시스템 기기의 집중 및 분산에 따라 중앙식 혹은 개별식으로 나눌 수 있고, 제어의 정도에 따라 전체의 제어, 존(zone) 제어 및 개별 제어방식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최근에는 빌딩의 공조 시스템에 쾌적성을 PMV(Predicted Mean Vote: 예상 평균온냉감신고) 지수로 나타내어 성능 상태를 동시에 표현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제습 공조식 시스템은 수분을 직접 제거하므로 기존 공기조화기의 과냉각 재열의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없으며, 과냉각이 없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 소개하는 기종(하이브리드 조습 외기처리기 소자의 활용이 골자)과는 시스템의 구성 측면에서 약간 다르지만,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주)에이티이엔지는 최근 데시칸트(desiccant) 제습기와 히트펌프 시스템을 융합한 제습공조식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 분야 관련자로부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 이 보고서에서 소개한 습도 및 온도 개별 제어 공조 시스템은 제습공조식을 개량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습도 제어는 흡착재를 열교환기에 직접 도포한 하이브리드 조습 외기처리기 소자에 의해 수행된다. 흡착재를 직접 냉각, 가열하는 높은 흡탈착 성능과 압축식 히트펌프의 고효율을 융합시킨 하이브리드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조습 능력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했다. 우리나라에서도 하이브리드 조습 외기처리기 소자를 활용한 제습공조 시스템의 활용이 곧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Shuji Ikegami, Nobuki Matsu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83(7)
- 잡지명
- 空氣調和衛生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527~531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