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간의 Th17세포와 병태

전문가 제언
○ 인간의 Th17세포가 인간질환에서의 메커니즘의 역할에 관해서는 현재 서서히 규명되어 가고 있으며 그 중에는 인간의 질환하고 질환모델 동물하고는 상이한 경우도 있을 수도 있겠으나 질환모델 동물을 바탕으로 하여 개발되고 있는 항Interferon-α(AntiTNF-α)제제 등의 생물학적 제제의 개발로 인하여 관련 질환의 치료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자기면역성 염증성 질환 치료전략은 크게 발전되고 있다.

○ 예를 들어 관절류머티즘(Rheumatoid arthritis : RA)이 여러 가지 종류의 자기항체 생산으로 인하여 관절염이 발증하게 된다. 또한 실험모델 동물 마우스에서도 자기면역 항체로 인하여 실제로 실험동물에서도 관절염이 유발하게 된다. 이에 관한 메커니즘의 경우 양자에서 CD4+T세포가 필수인 것으로서 관절염 유발에 대한 상호간의 증거라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 연구 개발되고 있는 생물학적 제제로 Interferon-α(TNF-α)제제를 비롯하여 인간 수하체 성장호르몬인 hGH(human-pituitary Growth Hormon), 항암보조제로 사용되고 있는 과립구 집락 자극인자 G-CSF(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와 형질전환 복제돼지를 이용한 빈혈치료제 EPO(Erythropoietin)의 개발 등 재조합 단백질에 관한 관련기술이 여러 제약기업에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불원간 제품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생산 기술로 개발되고 있는 불임치료제는 Ⅲ상 임상시험을 마치고 제품화를 서두르고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 새로운 공정의 개발로 수입대체 및 수출 기여도가 높은 생물학적 제제개발에 주력하여야 할 것이며 향후 유전공학적인 기술로 인한 생물학적 제제의 연구 및 개발로서 되도록 고 부가가치의 생물학적 제제의약품 개발에 역점을 두었으면 한다.
저자
Hisaka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9(3)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2~256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